설사의 기전은 복잡하지만,
기본적으로 장에서 물과 전해질의 흡수와 분비의 균형이
깨지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설사는 크게 네 가지 주요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삼투성 설사 (Osmotic Diarrhea)
삼투성 설사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는 물질들이
장 내에 남아 있어 물을 끌어당기는 경우 발생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삼투압을 증가시키고,
장 내로 더 많은 물이 이동하게 되어 설사가 발생합니다.
– 원인: 유당 불내증, 인공 감미료(소르비톨, 만니톨), 특정 약물, 식이 보충제 등이 포함됩니다.
– 기전: 흡수되지 않은 물질들이 장내 삼투압을 증가시켜 물을 대장으로 끌어들임.
2. 분비성 설사 (Secretory Diarrhea)
분비성 설사는 장 상피 세포에서 과도한 이온과 물이 분비되어 발생합니다.
이는 삼투성 설사와 달리 물과 전해질의 흡수 장애보다는
장벽에서의 과도한 분비로 인한 것입니다.
– 원인: 콜레라, 일부 바이러스, 독소, 호르몬(예: VIPoma), 약물(예: 자극성 완하제) 등이 포함됩니다.
– 기전: 세균 독소나 호르몬 등이 장 세포에 작용하여 염소 이온과 물의 분비를 촉진함.
3. 염증성 설사 (Inflammatory Diarrhea)
염증성 설사는 장 점막의 염증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염증으로 인해 장벽이 손상되고,
염증 세포들이 방출하는 물질들이 장벽의 투과성을 증가시킵니다.
– 원인: 염증성 장 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감염성 세균(예: 시겔라, 살모넬라), 기생충 등이 포함됩니다.
– 기전: 염증 반응으로 인한 장 점막의 손상과 염증 세포의 분비물로 인해 장벽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혈액과 점액이 장 내로 유입됨.
4. 운동성 설사 (Motility-related Diarrhea)
운동성 설사는 장의 운동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음식물이 지나치게 빨리 이동하거나 오래 머물러 발생합니다.
– 원인: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갑상선 기능 항진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일부 약물 등이 포함됩니다.
– 기전: 장 운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면 음식물이 장 내에서 충분히 흡수되지 못하고 설사가 발생함. 반대로 운동이 너무 느리면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설사를 유발할 수 있음.
각 기전은 다양한 원인과 연관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설사의 원인을 이해하고 기전을 파악하는 것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에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