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프로바이오틱스 균의 종류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 유산균’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유산균 외에도 낙산균, 당화균, 포자균, 효모균 등이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로 인정됩니다.

1. 유산균
– 정의: 유산균은 대사 과정에서 유산(젖산)을 생성하는 균주
– 특징: 유산균은 무아포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산이나 담즙과 같은 조건에 의해 생존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균주:
>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유산 생성을 통해 소화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균주입니다.
>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소장 내 유익한 세균의 증식을 돕는 데 관여하여 소화기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균주입니다.
>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식품 발효 및 소화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균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락토코커스(Lactococcus): 유제품 발효에 사용되며, 소화기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균주입니다.
>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소화기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균주 중 하나입니다.

2. 낙산균
– 정의: 낙산균은 대사 과정에서 낙산(부티르산)을 생성하는 균주
– 특징: 낙산균은 아포 형성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산균이 위산과 소장을 거치며 대부분 죽는 것과 달리 대장까지 생존하여 활동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균주 :
> 미야이리균(Miyairi) : 항바이러스 활성, 유해세균 억제, 면역증진 활성, 유익균 증식률 증가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3. 포자균
– 정의: 포자균은 포자를 생성하는 균주
– 특징: 포자를 생성하여 장내 생존력이 높고, 환경 변화에도 잘 적응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 주요 균주:
> 바실러스 코아귤런스(Bacillus coagulans): 유산균처럼 유산을 생성하지만, 포자를 생성하여 포자균으로 분류되는 균주입니다.

4. 당화균
– 정의: 당화균은 대사 과정에서 당을 생성하는 균주
– 특징: 당화균은 당을 생성하여 대장 내 환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주요 균주:
> 고초균(Bacillus subtilis) : 고초는 마른 풀을 의미합니다. 볏짚이 대표적이며, 메주를 띄울 때 볏짚으로 묶어 메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바로 볏짚에 이 고초균이 많이 있어 콩을 발효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낫토균(Bacillus subtilis var. natto)도 고초균의 일종입니다.

5. 효모균
– 정의: 효모균은 진핵세포로 구성된 진핵생물
– 특징: 위에 언급된 세균(원핵세포, 핵이 없고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도 없는 세포)들과 달리 진핵세포(핵이 있고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도 있는 세포)인 진균임. 항생제는 원핵세포만 죽이므로 항생제 복용 시에도 죽지 않습니다.
– 주요 균주
> 사카로미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 장건강 개선, 면역 체계 강화, 소화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좋아요

0 Points
0 댓글
Inline Feedbacks
댓글 모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