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도 균주를 보고 골라야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균주란 무엇이며 왜 골라서 먹으야 되는 걸까요?
우선 유산균 성분표시란에 주로 나오는
다음과 같은 긴 영문 표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유산균 중 하나인 LGG 유산균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 Genus (속):
- 생물학적 분류 체계에서 속은 여러 종(species)을 포함하는 상위 분류 단위입니다.
- 예를 들어, Lactobacillus는 유산균 속(genus) 중 하나로, 이 속에는 여러 종의 유산균이 포함됩니다.
- Species (종):
- 종은 같은 속(genus) 내에서 좀 더 세부적인 분류를 나타내며, 생물의 특정 집단을 나타냅니다.
- 예를 들어, Lactobacillus rhamnosus는 Lactobacillus 속에 속하는 한 종(species)입니다.
- Strain (균주):
- 균주는 같은 종(species) 내에서 유전적 또는 생물학적 특성이 조금씩 다른 미생물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어, Lactobacillus rhamnosus에서 GG는 특정 균주(strain)를 나타내며, 같은 종이라도 다른 균주는 서로 다른 기능이나 특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속(genus) > 종(species) > 균주(strain) 순으로 세부적으로 분류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GG라는 균주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류 명칭이 아니라
크리스한센(chr. hanssen)이라는 회사만 사용할 수 있는 균주명입니다.
즉 같은 Lactobacillus rhamnosus 라도 다른 회사에서 개발한 균주는
다른 코드명을 가집니다.
- Lactobacillus rhamnosus GR-1
: 캐나다의 Urex Biotech에서 개발한 고유한 균주로, 여성 건강에 초점을 맞춘 제품에서 사용됩니다.
- Lactobacillus rhamnosus HN001
: 뉴질랜드의 Fonterra에서 개발한 고유한 균주로, 면역 및 소화 건강에 관련된 제품에서 사용됩니다.
위와 같인 같은 Lactobacillus rhamnosus라도
개발한 회사에 따라 코드명이 다르며 그 효과도 다릅니다.
따라서 유산균을 고를 때에는 어떤 균주가 포함되었는지,
자기가 원하는 증상에 효과가 있는 유산균인지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