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제, 특히 유산균을 제대로 알고 섭취하기 위해서는
그 성분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판매하는 영양제의 경우 이 성분 정보가
Supplement Facts 라는 영양제 겉포장 또는
용기 라벨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FDA에서 이렇게 하도록 강제하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Supplement Facts 라는
별도의 섹션이 네모상자 안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맨 위의 주황색 박스 안에는
Serving Size(1회 복용량) 와
Servings per Container(들어 있는 총 복용량) 정보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 빨간색 박스에는 각종 성분의 종류와
1회 복용시 섭취할 수 있는
해당 성분의 함량(Amount per Serving)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맨 오른쪽에는 % Daily Value(DV) 정보가 있는데
1회 복용 시 일일 권장섭취량의 몇 %를 섭취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빨간색 박스 바로 아래에 보면
Daily Value not established 라고 되어 있는건
DV, 즉 권장섭취량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비타민 같은 영양제는 일일 권장섭취량 같은게 있으나
유산균의 경우 그런게 없다는 의미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대신 빨간 박스 안에서 맨 오른쪽에 보면
CFUs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이것은 Colony Forming Units의 약자로
유산균에 대한 보장균수를 의미합니다.
즉, 이거 한 알 안에 이 유산균은 이정도 수치 이상
들어있다는 의미입니다.
위 유산균 제품은 여러 유산균 균주를 다 합해서
토탈 300억 유산균 수를 보장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빨간 박스 안에 뭔가 유산균 균주 종류가
상당히 많이 쓰여져 있습니다.
이름도 길고 옆에 괄호 안에 코드 같은 것도 같이
쓰여져 있습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지만 이렇게 여러 성분이 있을 때
나한테 맞는 것도 있을 수 있지만
안맞는 것도 있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균주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자세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아래쪽 초록색 박스에는
그 외 기타 성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미세한 햠량의 성분 또는 캡슐이나 부형제 등에 대한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우리처럼 예민한 사람들은
이러한 성분도 쉽게 지나칠 수 없는게 사실입니다.
미세한 함량이지만 나한테는 맞지 않아
설사, 복통, 변비, 가스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기타 성분에 대해서도 별도로 또 이야기 하겠습니다.


위 두 제품의 경우 프로바이오틱스(빨간색 박스)와
프리바이오틱스(파란색 박스)가 함께 포함된 제품의 경우입니다.
Inulin, XOS라고 표시된 것 프리바이오틱스이고,
Bifido-, Lacto- 등등은 프로바이오틱스입니다.
이들에 대해서도 별도의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합해보면,
- 프로바이오틱스 종류가 많으니 나에게 맞는 유산균을 찾기 위해서는 포함된 유산균이 뭔지 알고 먹어야 한다.
- 프리바이오틱스도 종류가 많고 나한테 맞지 않을 수 도 있으니 잘 살펴보고 먹어야 한다.
- other ingredients라고 하는 기타 성분에도 나와 맞지 않은 성분이 있을 수 있으니 잘 보고 먹어야 한다.
정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 프리바이오틱스란? 프로바이오틱스란?
-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종류
- 프리바이오틱스의 종류
- 기타 성분 각각의 의미